프로그래밍 언어 복습/파이썬

#5 파이썬 이스케이프문자 + sep함수사용

사재원 교수 2022. 5. 11. 21:13
이스케이프 문자표

이스케이프 문자는 쉽게 풀어 설명하면 컴퓨터랑 약속한 암호문자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가장 많이 사용하고 대표적인 이스케이프 문자로 예시를 들어보자.

a = "안녕하세요 \n저는 사재원입니다 \n반갑습니다"

print(a)

쌍따옴표 안에 쓰는 것들은 전부 문자로 취급된다.
그러므로 저대로 출력했을때 안녕하세요 \n저는 사재원입니다 \n반갑습니다 라고 그대로 출력이 될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n은 이스케이프문자로 봤을때 줄바꿈이기 때문에 줄바꿈 처리가 된다.

출력창

이렇듯 \n 기점으로 줄이 바뀐 것을 볼수 있다.

하지만 \n을 그대로 출력하고 싶을수도 있다. 하지만 컴퓨터는 자동으로 이스케이프문자라고 인식하고 이스케이프문자의 기능을 실행하기 마련이다. 이것을 저지 할 방법은 무엇일까?

a = "안녕하세요 \\n저는 사재원입니다 \\n반갑습니다"

print(a)

바로 이렇게 이스케이프 문자 앞에 역슬래쉬를 하나 더 붙혀줌으로써 이건 이스케이프 문자가 아니다라고 컴퓨터에게 알려주는 것 이다.

출력창

이렇게 이스케이프 문자의 기능을 인식못한채 우리가 원하는대로 그대로 출력하게 된다.

번외 - sep 함수 활용

print("010","1234","5678")

sep이란 함수는 공백을 매꿔주는 함수이다.
위 코드대로 출력을 하게 되면 010 1234 5678 이렇게 출력되게 된다.
이렇게 숫자 사이에 공백이 있는데

print("010","5629","0118",sep="-")

sep 함수를 통해 공백을 -로 매꿔라고 명령을 내리면

출력창

이렇게 공백을 "-" 로 채워주게 된다.
이것을 통해 공백을 무엇으로 빠르게 채워주고 싶다면 sep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