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썬 연산자 종류에는 크게 4가지가 있다. (C언어,JAVA도 마찬가지다) 쉽게 외우려면 산-관-논-대 연산자 라고 외우면 된다. 첫번째 "산술연산자" #산술연산자 예시 a = 20 b = 10 num1 = a+b num2 = a-b num3 = a/b num4 = a*b print(num1) print(num2) print(num3) print(num4) 산술연산자란 말 그대로 더하고 빼고 곱하고 나누고 그런것들을 총칭해서 말한다. a 변수에 20값을 넣어주었고 b 변수에 10값을 넣어주었다. 각각의 값을 넣어준 변수를 이용해서 산술연산자를 해보았다. 1) 더하기 => + 를 이용 2) 빼기 => - 를 이용 3) 나누기 => /를 이용 4) 곱하기 => *를 이용 라고 기억하고 사용하면 될 것 같다..

파이썬 예약어를 앞서 설명했다. 특정 기능을 사용할수있는 함수들을 말하는데 이것들이 무엇인지 알수있는 방법이 있다. import keyword print(keyword.kwlist) import로 keyword(예약어)를 불러온다. import는 어렵게 생각할필요없이 "불러온다"라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import keyword => "파이썬에 있는 예약어들을 불러와줘" 라고 해석할수있다. keyword.kwlist는 예약어들을 나열해주게끔 하는 것이고 그것들을 프린트해보았다. 출력된 화면은 이렇게 이렇게 많은 예약어들을 가지고 있다. 이 예약어들을 가지고 코딩을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나온 if라는 예약어 뒤에도 많은 예약어들이 존재하지만 너무 길어 짤렸다...! 저 예약어들 중에 if와..

1. 변수란 무엇일까? 변수란 쉽게 설명해서 무언가를 담는 공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print(100+200) 이렇게 print하여 300이라는 값을 뽑아낼수도 있겠지만 만약 저 안에 100과 200의 값을 각각 저장하여 하고 싶다면? a = 100 b = 200 print(a+b) 이렇게 할수 있을 것이다. 즉 a라는 변수안에 100의 값을 담았고 b라는 변수안에 200이라는 값을 담았다. 변수명은 사용자가 임의로 정하면 된다. 내가 지금은 변수명을 각각 a와 b로 정했지만 뭐 변수명을 각각 bcd abc라고 해도 전혀 문제 될 건 없다. 하지만 앞서 얘기했던 예약어의 이름들은 피하는게 좋겠다. a가 곧 100 , 그리고 b가 곧 200이라는 뜻을 내포한다. 그래서 print 함수를 이용하여 a+b를..

파이썬에는 예약어 라는 기능이 있다. 예약어란 특정기능을 수행하도록 예약되어 있는 단어를 말한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print라는 예약어이다. 이것은 말 그대로 print() 가로 안에 있는 것들을 컴퓨터상에 출력해준다. print("Hello World !") => 출력화면 쉽게 설명해서 "Hi" 라는 말을 우리가 "안녕!" 이라고 알고있는 것처럼 컴퓨터에게 "print" 라는 명령을 내리면 "출력"이라고 알아듣고서는 그 기능을 수행한다.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를 공부하든 항상 첫 시작은 print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다. 가장 기본중에 기본이라고 볼수 있다. 감사합니다.